제안
- 제안
- 토론
- 투표
- 실행
은평구 관내에는 타지역에 비해 장애아이들의 수가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내에 특수학교는 1개밖에 없습니다.
다수의 아이들이 일반 초등학교에 다닐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일반 초등학교에서는 지원인력의 부족으로 특수학급 만들기를 꺼려합니다.
그렇다보니, 일부 특수학급이 있는 학교는 장애아이들이 과밀이 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실례로, 진관동의 어떤 초등학교의 경우 특수학급이 3반이나 됩니다.
아이들이 특수학급에서 국어나 수학은 공부하고, 나머지 과목은 일반반에서 비장애아이들과 어울려 수업을 받습니다.
보조인력이 일반반에서 수업을 할 경우 옆에서 도우미로 지원을 해주지 않는다면,
사실 방치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담임교사 혼자서 일반아이들을 지도하기도 벅차니까요.
교육청에서는 예산부족으로 보조인력지원에 난색을 표하며,
그나마 학교에서는 최대한 보조인력을 지원하고자 하지만,
그것도 저학년 아이들에게만 해줄 수 있는게 현실입니다.
실제로, 타 지역/ 일부 구에서는 장애아동학습도우미 지원 사업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구에서 인력을 뽑아, 교육 시켜 장애아동학습도우미를 각 학교에 파견하고 있습니다.
도우미가 옆에서 아이들의 학습을 지원해준다면, 장애아동이 방치되거나 문제행동을 일으키지 않고
비장애아이들과 어울려 수업을 잘 받을 수 있으리라 예상됩니다.
부디 은평구의 장애아이들을 지나치지 말아주세요.
제안 동의
이 제안에 46명이 공감합니다.
- 느림보 2024.03.29
- 니니 2024.03.29
- 썬샤인 2024.04.18
- asder2**** 2024.03.29
- athena 2024.03.29
- 볼살압박 2024.03.29
- coffume 2024.03.29
- zahab 2024.03.29
- flow**** 2024.03.29
- 꽉 2024.03.29
- 림 2024.03.29
- 스탈캣 2024.03.29
- happyday 2024.03.29
- 에우랄리아 2024.03.29
- 메종드슬로비 2024.03.29
- Dddmmm 2024.03.29
- taewoo**** 2024.03.29
- 거북이용 2024.03.29
- 별 2024.03.29
- 핑다 2024.03.29
- 임해진 2024.03.29
- 눌 2024.03.29
- 액션가면 2024.03.29
- 에스텔라 2024.03.29
- 긍정파워전달메신저 2024.03.29
- ke****1317 2024.03.29
- soso848 2024.03.29
- Gracejj 2024.03.29
- 아잉 2024.03.29
- 햇님어뭉 2024.03.29
- 삐쭉이 2024.03.29
- 은딩 2024.03.29
- 빨간땡땡이 2024.03.29
- 정은하 2024.03.29
- monge**** 2024.03.29
- 남명호 2024.03.29
- 힘내자호야 2024.03.29
- 강나래 2024.03.29
- nad**** 2024.03.29
- 날씨맑음 2024.03.29
- h**** 2024.03.29
- 햇님이방긋23 2024.03.29
- 아리사랑 2024.03.30
- dami**** 2024.04.01
- 쑥쑥명현 2024.04.26
- 뒷북 2024.05.30
댓글 (12)
-
썬샤인 2024-04-18 21:56
공감합니다!
현직에서 담임을 하는 지인도 이러한 문제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들 사이에서 너무 힘들어하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양쪽 모두를 위해 도와주고 어울릴 수 있으려면 더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보조인력이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제안과 유사한 제안
-
진행 중 ㅣ 26일 남음[어르신·장애인] 주민센터 휠체어보관함들 교체 필요주민센터에 휠체어 빌리러 갈 일이 있었는데 문에 녹이 많이 슬어서 대여해주는 분이 한참 낑낑대며 여시는 것을 보았습니다. 여쭤보니 잠금장치도 고장난 지 오래되었다고 합니다.저희 집
1
0
-
진행 중 ㅣ 5일 남음[어르신·장애인]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독서문화 프로그램 확대제안배경○ 특수학교 또는 학교 내 특수학급 청소년들의 독서 취약성으로 인한 정보 격차 극대화 및 문화 사각지대 확대○ 청소년 시기에 겪을 수 있는 자아성찰 및 진로고민 등 다양
27
1
-
진행완료[어르신·장애인] 만 65세 이상 장애인도 장애인 활동 지원사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세요.현재 장애인 활동 지원사는 만 65세 미만인 장애인만 이용 가능합니다. 만 65세 이상 장애인도 장애인 활동 지원사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세요. 사람은 보통 나이가 들수록 건강이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