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
- 제안
- 토론
- 투표
- 실행
- 제안기간: 2024.03.27~2024.04.25
- 작성자: wogk****
※ 사업명 : 어린이·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예술로 성장하기>
※ 사업내용
1. 제안배경
- 어린이‧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 향유 지속성과 자아존중감, 상호친밀감, 공감 능력 등 개인적‧심리적 차원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1회성이 아닌 정기적인 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주로 학교 중심, 특정 기반 시설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역 내 모든 어린이‧청소년의 보편적 문화예술교육 참여에는 한계가 있음.
- 지역 내 곳곳에 위치하고 있는 도서관에서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이 진행된다면, 보다 많은 어린이‧청소년들이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봄.
2. 사업개요
- 은평구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 진행
- 1회성이 아닌 정기적인(최소 8회 이상) 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하며, 평소 쉽게 접하기 어려운 분야 위주로 전문 예술인이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 (예: 연극, 뮤지컬, 그림 테라피, 음악 테라피 등)
3. 구체적인 내용이 있다면
- 사 업 량
* 사업예산 : 전문 예술인 강사비, 재료비 등
* 수혜대상 : 은평구 어린이‧청소년
* 수혜기간 : 연간 사업
※ 기대효과
-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어린이·청소년들의 자기표현력 향상, 공감 및 소통 능력 향상 등 사회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문화예술 감수성을 키우고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개인적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음.
※ 덧붙이고 싶은말
- 특히 은평구 내 공공도서관이 거점이 되어 인근 지역 어린이·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할 시, 특정 지역(동)에 집중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접근성도 용이해져 더 많은 어린이·청소년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함.
제안 동의
이 제안에 42명이 공감합니다.
- sohee 2024.03.28
- quikn**** 2024.03.27
- 사호 2024.03.31
- 단 2024.03.27
- 날이날이좋아서 2024.03.28
- 무지개 2024.03.27
- mimpi 2024.03.28
- wogk**** 2024.03.27
- tmdwls**** 2024.03.29
- 양우진 2024.03.29
- silversun 2024.03.28
- Vv 2024.03.28
- 최나영 2024.03.29
- rlawodbs 2024.03.28
- 달팽이 2024.03.28
- 지세다 2024.03.28
- 시영 2024.03.28
- dzlvd 2024.03.28
- Lullu 2024.03.27
- 송주연 2024.03.27
- 북한산이웃 2024.03.27
- 첨부엉첨부엉 2024.03.27
- 시란 2024.03.27
- rim 2024.03.27
- 고지원 2024.03.27
- 조그만 2024.03.28
- 서다혜 2024.03.28
- 4466 2024.03.28
- 딸기고양이냥 2024.03.28
- 냠냠맛있어 2024.03.28
- 다누맘 2024.03.28
- 상상 2024.03.28
- 은평둥이 2024.03.28
- 몽상향 2024.03.28
- fd**** 2024.03.28
- 게으름대장 2024.03.28
- 솜이 2024.03.28
- MM 2024.03.28
- 빈터 2024.03.28
- 호리 2024.03.28
- 이승훈 2024.03.28
- 구슬이 2024.03.28
댓글 (0)
이 제안과 유사한 제안
-
진행 중 ㅣ 26일 남음[교육] (청년) 우리동네 청년발전소(청년) 우리동네 청년발전소
1
0
-
진행 중 ㅣ 26일 남음[교육] 은평구 지역내 문화예술 대학신설과 방송통신대학 건축2025년 3월 31일(월)수신 : 참여의 숲 관계자, 은평구 담당 공무원 관계자.발신: 이경호(은평구청 주민 참여위원) [은평구 지역내 문화 예술대학 신설 건
2
0
-
진행 중 ㅣ 26일 남음[교육] (청년) "은평에서 나를 찾다!“ - 은평형 갭이어(Gap-Year) 프로그램(청년) "은평에서 나를 찾다!“ - 은평형 갭이어(Gap-Year) 프로그램필요성은평구 청년들은 학업과 취업 경쟁으로 인해 진로 탐색과 자기성찰 기회가 부족하며, 지역사회와의 연
57
22